[EasternGear_New] 테슬라 GEN2에 웜기어가 사용되었다고?
Putting
Efficiency
into
Motion
March 2024 Edition
봄의 시작을 알리는 3월입니다.
꽃이 피어나는 걸 시샘한다는 꽃샘추위가 지나가고 새싹이 돋아나듯 새로운 기운과 희망으로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
EPG로봇 홍보영상 미리보기 🤖
이스턴기어는 글로보이드(장구형)웜감속기를 적용한 로봇암 테스트를 완료하고 새로운 디자인의 로봇암 개발을 앞두고 있습니다. 로봇암의 특징을 담은 홍보영상이 다음달에 공개될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많관부😘)
Watch on Linkedin
|
이제는, 휴머노이드시대!
BMW 공장에 휴머노이드 로봇 도입!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세계는 다양한 이유로 인한 생산인력부족 문제가 야기되고 있습니다. 이 심각한 인력 부족을 극복하기 위해 많은 기업과 공장들에서 그 해답을 로봇 기술에서 해결책을 찾고 있습니다.
|
테슬라를 포함 최근 몇 달간 로봇 산업에서는 휴머노이드 로봇에 대한 관심이 크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현재 로봇과 자동화 산업의 트렌드를 보면 AI의 발전에 따라 산업용로봇에서 모빌리티 로봇으로, 또 휴머노이드 로봇으로 빠른 기술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테슬라가 2세대 휴머노이드 로봇인 옵티머스 GEN2를 선보였고, BMW는 프리거(Figure)의 휴머노이드 로봇을 생산 라인에 도입할 예정이라고합니다. 스마트 팩토리에 적용된 로봇은 대부분 산업용 로봇 암이었으나, 생산 노동력의 대체를 위해 휴머노이드 로봇의 보편화의 중요성이 지속해서 대두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
이러한 휴머노이드의 로봇 상용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하드웨어의 가격, 성능, 효율성, 신뢰성에 대한 이슈사항을 해결해야합니다. 특히나 로봇의 가장 높은 원가비중을 차지하고 동력의 필수적인 부품인 기어 및 감속기의 원가절감과 물량확보는 필수적입니다. 하모닉드라이브, 유성감속기, 사이클로이드 드라이브 등이 현재 로봇 관절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다소 높은 비용과 감속기의 크기 대비 효율성의 부분들이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특히 수요량에 대비한 공급에 대한 문제는 많은 감속기 기업이 생겨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야기되고 있습니다.
그러면 우리는 꼭 기존의 기어와 감속기만을 사용해야할까요?
아직도 테슬라의 옵티머스 GEN2를 못보신 분들은 여기👇
|
휴머노이드 로봇, 손에 적용된 웜기어
2019년, 일론 머스크가 오픈AI창립시절 인간의 손과 매우 흡사하게 물건을 조작할 수 있는 로봇을 이미 개발한 적이 있다는 것을 아시나요? 큐브퍼즐 푸는 로봇손을 공개해 화제가 되었습니다. 이번 테슬라의 휴머노이드 로봇에서 가장 사람다움을 볼 수 있는 기술은 바로 손으로 계란을 집어 옮기는 장면인데요. 놀라운 것은 정밀하고 세밀한 조작이 필요한 손에 적용된 기어가 바로 웜기어라는 것입니다.
각 손에 'Clutching Finger Drive'로 엄지에 2개, 나머지 손가락에 4개를 사용하여 총 12개의 웜기어가 사용되었습니다.
|
EasternGear의 글로보이드 웜 기어는 장구형 웜기어 감속기중 가장 효율이 높은 기어로 일반적인 웜 기어의 상위 버전입니다. 본 제품은 고출력의 토크, 더 높은 역회전방지(Self-locking) 메커니즘을 구현하고 일반 웜 기어보다 더 콤팩트하게 제작할 수 있는 특징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콤팩트함은 충격 저항성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인 웜 기어에서는 웜 축이 휠과 점 또는 선으로 구현되지만, 글로보이드(장구형) 웜 기어에서는 면 접촉으로 구현됩니다. 이에 감싸는 구조로서 "글로보이드 웜 기어"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습니다.
*글로보이드 웜기어는 발명자의 이름을 붙여 힌들리(Hindley) 웜, 로렌츠(Lorenz) 웜, 콘(Cone) 웜 등으로도 사용되고 있음
|
재활로봇의 무릎에 적용된 웜기어
인간이든 로봇이든 무릎 관절은 제품 전체의 수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상체의 대부분 무게를 지탱하는 무릎은 높은 안정성, 내구성 및 충격에 대한 저항력이 필요합니다. 재활로봇의 무릎에 사용된 웜기어의 사례를 보면 로봇이든 인간이든 사용되는 외골격 무릎 관절에 일반 웜기어 대신 높은 내충격성의 이스턴기어의 글로보이드(장구형) 웜 기어를 사용한다면 더 높은 출력과 내구성을 보여줄 수 있지 않을까요?
|
빠르게 성장하는 로봇시장, 로봇 상용화가 가까워지고 있음이 느껴지시나요?
|
|